300x250
저축은행 거래를 여러번 해보니, 몇가지 유의사항이 있어요. 오늘은 저축은행 비대면 거래후 챙겨둘 사항에 대해 정리해서 공유합니다.
예금 가입한 후 1년 뒤에 출금할 때나 다시 거래하다 보니, 꼭 챙겨두어야 할 것들이 있네요.
첫째, 저축은행 가입할 때 만든 ID/PWD를 아무도 몰래 적어 두어야 하구요, 더불어 계좌번호, 금액, 만기일자 등을 잘 정리해 두세요. 물론 만기일을 일정에 등록해 두시면 더 좋지요.
둘째, 처음 예금 가입할때 거래를 위해 공동인증서와 OTP를 등록해야 하죠. 안타까운 건 공동인증서는 1년에 한번씩 갱신을 하다보니, 예금할 때 사용한 공동인증서가 바뀌어 만기시 예금을 찾을 때는 바뀐 공동인증서를 새로이 등록해야 해요.(OTP는 여러해를 쓰니 대부분 괜찮을 거에요.)
저는 아직까지는 번거로워도 공동인증서를 쓰고 있지만, 금융인증서를 쓰는 것도 고민해 볼 예정이네요. 갱신주기가 3년이라서 번거로움이 화악 줄거든요. 하지만, 아직 보안상 취약점이 있다는 분위기라 망설이고 있지요...
셋째, 저축은행은 이체수수료를 안받아요. 다행이죠.ㅎㅎㅎ 가능하면 만기되면, 주거래 통장으로 이체되도록 신청해두세요. 그러면 두번째 언급된 번거로움이 사라질 수 있거든요.
저축은행 예금금리가 2.83%까지 나왔어요. 다들 고민해보시고,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^^

728x90
'재태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, 4월엔 미리 준비하세요. (0) | 2022.03.26 |
---|---|
NH저축은행 비대면예금(2.8%) 가입후기 (2) | 2022.03.25 |
노후대비를 위한 퇴직연금(DC형) 스스로 관리하기 (0) | 2022.03.21 |
노후대비를 위한 퇴직연금계좌 효과적 관리방법 (1) | 2022.03.19 |
[안전투자] 저축은행 예금 비대면으로 가입하는 방법 (4) | 2022.03.16 |